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84

김동률의 귀향 김동률 3집 - 귀향 - 김동률 노래/대영에이브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뮤지션이 자신의 음악적 깊이를 더해가는걸 공유할 수 있다는건 팬으로서 즐거운 일이다. 그리고 김동률 역시 이런 즐거움을 같이 할 수 있을 정도의 기다림에 대한 신뢰감을 갖게 만드는 뮤지션이다. 유학 이후 '희망'이란 앨범에 이어 내놓은 '귀향'이란 앨범은 그 더해가는 깊이를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참으로 듣기에 즐거운 앨범이다. 유학을 통해서 많은 걸 배웠을테지만, 그런것들을 좀 더 많이 표현하고 싶었다는 그의 욕심때문에 지난 앨범에는 조금은 산만하다 싶은 곡구성이나 다소 생소한 음악들이 들어있었다면, 귀향이라는 앨범은 분명 그 모든것들을 김동률 자신의 음악으로 만들어가고 있다는걸 느끼게 해준다. 한번 들어봐도 그의 음악이라는걸 느끼.. 2006. 2. 11.
김광진 솔베이지의 노래 4집 - 솔베이지 - 김광진 노래/서울음반 김광진.. 한때는 더클래식이라는 그룹으로 익숙했던 그가 어느새 4번째 솔로앨범을 냈다. 그리고 더클래식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의 음악에서 우리가 느끼게 되는 첫번째 느낌은 '착함'이 아닐까.. 굳이 착하다라는 느낌이 아니더라도 대부분 그의 음악을 좋아해왔던 사람들은 이 비슷한 점들 때문에 그의 음악을 아껴왔을것이다. 편안한 멜로디에 화려하지 않은 그의 목소리로 들려주는 섬세한 노래 가사등은 익숙한 편안함과 서정적인 슬픔 등을 항상 동반해왔으면 이번 4집 역시 마찬가지이다. 도입부의 새소리에 이어져서 마치 동화속의 세상으로 들어온 듯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솔베이지의 노래는 마치 마법의 성의 마이너판을 듣는 듯 하다. 그리고 언제나 자신의 앨범에서 이런 저런 분위기.. 2006. 2. 11.
공일오비 5집 공일오비 5집/big 5 - 공일오비 노래/예전미디어 '투박함의 미학'... 공일오비가 오랜기간동안 준비 했던 그들의 5집앨범인 이 BIG5에서 추구 했다고 하는것은 바로 투박함의 미학이라고 그들이 밝히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서 그들은 앨범전체의 방향을 remake와 복고풍의 음악으로 채워놓고 있다. 게다가 더욱더 이 앨범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필을 했던것은 바로.. remake곡들인 '단발머리'와 '슬픈인연'을 바로 타이틀곡으로 내세우고 있다는것이다. 이점은 바로 공일오비가 여타 다른 가수들이 앨범에서 한두곡정도로 곡을 채우기위해서-물론 모든 가수들이 그런것은 아니지만.- 형식적으로 해버리고 마는 리메이크가 아니라, 그들의 이 앨범의 컨셉을 모든 사람들에게 가장 확실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되어진.. 2006. 2. 11.
쿵푸허슬 쿵푸허슬을 보면서 역시 주성치!! 라고 감탄하며 즐긴 장면들이 많지만, 그래도 영화를 보기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주성치 영화라는걸 느끼게 해준 장면은 바로 도끼파의 단체댄스 부분이였다. 두목이 혼자 시작한 댄스에서 점점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독특한 리듬의 음악과 함께 독특한 댄스를 함께 선보이는 것과 중간중간 도끼파의 세력이 늘어나는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몇몇 장면들의 삽입. 코믹하면서도 세련된 연출이라고 생각된다. 2006. 2. 11.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서로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지 못했던 두 사람이 마음속에 있는 것들을 토해내고 사랑을 확인하는 모습.. 영화의 마지막 장면과 더불어 참 마음에 와닿았던 장면이다.. 2006. 2. 11.
하나와 앨리스 하나와 앨리스역시 이와이감독의 작품답게 이쁘고 기억에 남는 장면들이 많지만.. 하나와 앨리스를 본 사람의 백이면 백 다 이 장면을 기억할 것이기에 이 장면을 소개하고 싶어졌다.. 이 장면이 더욱 아름답게 느껴지는건.. 앨리스의 순수한 열정이 드러나기 때문이 아닐까.. 이 장면에는 아름다움을 넘어서는 열정을 느낄 수 있는 조그마한 에피소드가 하나 있지만.. 아직 영화를 보지 못했던 사람들을 위해서 일부러 발레장면만을 모아봤다.. 2006. 2. 11.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영화의 마지막장면에서 사쿠가 아키의 녹음테잎을 듣는 장면입니다.. 아키의 마지막 부탁중.. "너의 시간을 살아줘.."란 얘기가 특히나 와닿았었죠.. 2006. 2. 11.
홍반장 혜진이는 갑작스레 무엇을 본것일까? 홍반장은 왜 순간 뻘쭘해하는걸까? 영화를 본 사람들만 알 수 있는 이 장면.. 마음속에 담아둔 진심이 드러나는 장면이어서 좋은것 같다.. 2006. 2. 11.
8월의 크리스마스 자신이 죽게되면, 아버지 혼자서 비디오도 못보시게 될까봐 비디오플레이 방법을 가르쳐주는 정원.. 아버지가 실수할때마다 본의 아니게 화를 내고.. 혼자서 자신의 방에서 묵묵히 비디오 사용법을 메모하는 그의 모습은.. 죽음을 준비하는 한 사람의 모습을 굉장히 사실적으로.. 애잔하게 보여주는 장면이 아닐까.. 2006. 2. 11.
중경삼림 장면보다는 대사에 많이 공감을 했었던것 같다.. 헤어진 연인을 잊고 살아가기 위해 자신의 생일날 아침 열심히 비를 맞으며 운동장을 달린 후 마지막으로 삐삐에 남겨져있는 메세지를 확인하는데, 그 메세지는 지난밤 함께 술을 마셨던 낯선 여자로부터의 생일축하 메세지.. 그리고, 그 한순간 그녀와 사랑에 빠지는 하지무.. 2006. 2. 11.